부자아빠 프로젝트

멀고도 험한 그 길

반응형

Rich Dad/경제 14

수요와 공급 (feat. 무더위와 태양광 에너지 SMP 단가)

다른 글에서 한번 언급한 적이 있지만 살면서 수요와 공급 원칙만큼 잘 지켜지는 인간들 사이에서의 룰은 보지 못했다. 공학으로 치자면 F=ma 수준이라고 본다. 태양광 에너지를 포함해서 풍력 발전 등 신재생 에너지 사업에 부정적인 사람들이 많은데 마냥 까고 볼 것은 아닌 것 같다. 신문에서는 연일 전 정부와 관련된 태양광 비리들이 나오고 있는데 그만큼 당시에 태양광 시장에 눈먼 돈이 많이 풀렸고 국가의 정책 사업으로써 눈치 빠른 사람들은 호재를 톡톡히 누렸다고 볼 수 있겠다. 나는 멍청하게도 끝물에 알게 되어서 간만 보다가 결국 시장 진입을 못했는데 이러한 판단력에 참 내 미래가 한탄스러운 수준이다. 혹자는 여름에 일조량이 많으니 태양광 에너지 공급단가 (smp)가 맥을 못출 것이라 했다. 즉 공급이 많다..

Rich Dad/경제 2023.06.20

물가 비교 - 호주 vs 서울

호주 퍼스는 내가 꽤 오래 산 곳이다. 사람도 많지 않고 공기 맑고 자연 이쁘고 골프장 싸고 나는 참 좋아했던 곳임. 와이프는 도시가 좋은지 퍼스는 좀 싫어했지만 나이 들어서 다시 내가 살았던 퍼스의 그 아파트로 가보는 것이 내 버킷 리스트 중 하나다. 갑자기 궁금해서 퍼스와 서울의 물가 비교를 검색해봤다. 1. 레스토랑 퍼스 뿐만 아니라 전반적으로 호주 레스토랑은 비싸다. 호주도 우리와 같이 최저임금이란 것이 있고 대략 2배라고 보면 될 듯 하다. 2010년대 호주로 워홀을 많이 가는 이유가 두가지다. 급여가 높고 영어를 배울 수 있다는 점. 아래 표를 보고 있으면 좀 특이한게 있다. 커피는 한국이 더 비싸다는 점. 호주는 Americano 대신 Long Black 이라는 블랙커피를 마시는데 2018년..

Rich Dad/경제 2023.06.04

우울한 대한민국의 미래

22년 5월 9일자 중앙일보 기사. "2030년까지 국내 차부품업체 10개 중 3개 사라진다" 1. 인력 집중 산업의 쇠퇴 자동차나 조선이나 전통적인 인력 집중 산업이다. 자동화(로봇팔)를 넘어서 전동화(전기차)로 전환되면서 자동차 산업도 작업자가 점차 필요 없는 구조로 바뀌고 있다. 어차피 완성차 회사의 고용은 큰 변화가 없을 거라고 본다. 이미 전동화 될 만큼 됐다. 다만 부품 업체는 사정이 다르다. 누군가는 전기차로 완전 전환시 산업 종사자 수가 40% 감축될 것이라 말한다. 대한민국에 생각보다 대기업(완성차 회사)에 다니는 사람이 많지 않다. 10%? 나머지는 전부 중소기업이다. 중소기업이 무너지고 있다고 표현하는 건 적절치 않고 중소기업의 인력 수요가 줄어들고 있다. 조선은 어떨까? 현대중공업 ..

Rich Dad/경제 2023.05.29

국가별 경제 순위 (feat. 이태리, 러시아, 사우디)

23년 5월 28일 기준으로 트레이딩 이코노믹스 발 자료임. 1. 이태리 다소 의아한 것은 이태리가 꽤 순위가 높다는 것. 인구수는 대한민국이랑 비슷하면서 GDP는 약 4천 가량 높음. 수치적으로는 17% 차이임. 국가의 GDP는 결국 기업이 만들어냄. 이태리하면 떠오르는 기업이 별로 없음. 그런데 어떻게 이렇게 됐을까? 이태리하면 떠오르는게 가구, 구두, 패션임. 생각보다 이태리 명품이 많음. 이태리는 기업 세금 문제로 인해 대기업이 되고 싶어하는 중소기업들이 별로 없고 대부분 소기업 형태로 비지니스를 함. 비슷한 사업을 하는 사람들은 모여서 사업하고 있음. 즉 매우 많은 수의 소기업이 존재하는 곳이 이태리이고 그 소기업들이 이태리 경제를 먹여살리고 있다는 것임. 2. 러시아 현금 보유량이 어마어마함...

Rich Dad/경제 2023.05.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