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직 하기 전, 나는 도대체 얼마나 벌어야 행복할 수 있을까를 고민하던 시절이 있었다.
그 당시에 스스로 하는 질문들은 도대체 얼마나 열심히 살아야 하나, 어느 선에서 만족감 행복감을 느낄 수 있나 였고, 사실 이 문제는 지금도 그리 명쾌하게 풀린 상태는 아니다.
- 이스털린 패러독스 : 행복y 소득x는 로그함수 형태
- 미국은 약 7만불 이상부터는 한계효용 체감 효과 온다함
- 로그함수형태를 선형으로 만드려면 개개인이 시간투자해서 사람과 사람사이에 관계에서 생기는 무형재화 예를 들어 사랑, 우정, 이웃 친척과의 좋은 관계 (관계재)를 형성해야함
- 어떤 작자들은 선형관계도도 그리는데 x 축이 로그스케일이므로 잘못된 예시- 근데 이스털린 패러덕스가 나타나는 것은 선진국이나 가능.
구글에서 이스털린 패러덕스를 검색해보면 정작 학자 이스털린이 이야기 한 것은 그게 (수확체감 법칙)이 아니라는 글들도 있는데 본작자의 의도를 넘어서 전세계가 이스털린 패러덕스를 그렇게 이해하고 있고 나도 본작자의 의도니 뭐니 더 파볼 생각이 없다.
여하튼 행복과 소득은 로그함수 형태라는 것이 그 패러덕스의 핵심인데 솔직히 잘 모르겠다. 행복을 얻는 방법엔 크게 두가지 경로가 있다고 한다. 하나는 희소성의 행복 경로, 다른 하나는 풍요성의 행복 경로. 희소성은 말그대로 희소한 자원을 얻는데에서 느끼는 행복인데 상위고과 맞고 특진하고, 어찌어찌 큰 돈을 얻었을 때 얻는 행복이다.
풍요성의 경로는 인간들 간의 유대감을 통해서 얻는 행복이고.
현시점에서 나는 희소성의 행복 경로는 좀 위험하다고 생각한다. 답은 매우 심플하다. 끝이 없다. 영화 무간도에 보면 무간지옥이라는 표현이 나오는데 딱 그거다.
* 그렇다고 해서 이 글이 경제활동하는 걸 얕잡거나 까려는 의도는 아니다. 어느정도 이루어놓은 상태에서 말그대로 수확체감을 느끼고 있는 와중인 바, 보다 높은 행복감을 느끼기 위해 뭘 해야하는가에 대한 생각에서 나온 글이다
블로그 인기글
캠핑하는 이유
캠핑은 자연 속에서 생활하면서 여러 가지 경험을 쌓을 수 있는 즐거운 활동입니다. 이제는 도심의 생활에서 벗어나 자연을 느끼고,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캠핑을 즐기고 있습니다. 우선, 캠핑은 일상에서 느낄 수 없는 새로운 경험을 제공합니다. 캠핑장에서는 건물이나 도로 등의 인프라가 없기 때문에, 새로운 환경에서 살아가는 것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또한 캠프파이어를 피우거나 야외 요리를 해보는 등의 경험을 통해 도전 정신과 창의력을 길러줄 수 있습니다. 또한, 캠핑은 스트레스를 풀기에도 좋은 활동입니다. 도시에서의 바쁜 일상에서 벗어나 자연 속에서 휴식을 취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캠핑을 하면서 휴식을 취하면서 단순히 쉬는 것 뿐 아니라, 새로운 환경에서의 삶을 경험하게 되어 마음의 여유와 평..
https://howwhy.tistory.com
PMP 합격 후기 2 - 책 추천, 시험팁 및 자격증 유지 방법
[PMP 공부 책] 노드미디어 이두표 저 PMP Power 실전문제 1000 플러스+ : 아주가끔 오답이 있다. 설명이 꽤 충분해서 도서관에서 문제풀고 공부하기 좋고 암기하기 좋다. 그러나 문제 질이 최상은 아니고 암기식 답변이 조금 많은 편. 근데 암기 문제도 시험에 분명히 나오니 대비용으로 좋다. 나는 모의고사 풀면 60~73점 사이였음. 문제집과 답안지가 분권이 안되어 있어서 좀 불편한데 알파문구가서 몇천원 주고 분권하면 해결됨. 단점: 시험은 결국 CBT로 본다. 컴퓨터로 보는게 은근히 피곤하다. 근데 컴퓨터로 공부 잘안되는 사람들 분명히 있고 기본기 익히기 좋다는 건 분명함. 비싼편 소동출판사 김병호유정근 지음 PMP PM+P 7판 해설서. 너무 애자일 위주가 아닌가 싶긴한데 막상 시험 보니 죄..
https://howwhy.tistory.com
'Rich Dad'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0세 시대 - 집을 갖고 싶은 사람이 맞벌이를 해야만 하는 이유 (0) | 2023.02.08 |
---|---|
네이버페이의 위용 (0) | 2023.02.06 |
목돈 만들기 (목돈 못만드는 원인 6가지) (0) | 2023.01.21 |
중산층이란? (0) | 2023.01.15 |
예금자 보호법 관련 요약 (0) | 2022.12.07 |